[삶의 뜨락에서] 곽애리 / 시인
흐르는 시! 몸으로 쓰는 시(詩) 몸시(詩)라고 해야 할까? 모션포에트리요가스튜디오(Motion Poetry Yoga Studio)라고 이름을 만들어 작은 클래스의 수업을 진행한 지 일 년이 넘었다. 평소 SNS 같은 사회적 통로의 교감을 안 하는 나이기에 친구와 친구의 소개로 모인 소규모의 모임이라 더욱 애틋하다. 통통 튀는 발랄함, 이슬처럼 신선한, 사슴의 눈처럼 선한, 학생들을 일주일에 한 번 만나는 기쁨은 정말 크다. 누군가의 애정 어린 질책처럼 일주일에 한 번을 뭐 하려 하느냐고 해서 웃기도 했지만 일 년 가운데 52회의 만남이 주는 우리의 교감은 끈적끈적하고 몸으로 정신으로 세우는 우리의 몸시는 튼실한 삶의 근육이 되어 생의 활기를 불러온다. 수업이 시작되면 매번 나는 한 편의 시를 선정하여 읽어주는데 2023년 새해 첫 수업에 어떤 시를 읽어줄까? 고심하다 요가 수업의 첫 명상 자세, 연꽃잎이 떠올랐고 꽃이 피려면 씨앗을 심어야 한다는 생각에 당도하자 아하! 쾌재를 불렀다. 환한 얼굴로 다시 만난 우리는 분주했던 일상, 산란한 마음을 호흡으로 정돈하고 줄기처럼 척추를 곧게 펴고 마룻바닥에 앉아 명상으로 수업은 시작되었다. “기죽지 말고 살아 봐/ 꽃 피워 봐/ 참 좋아.” 나태주 시인의 시 ‘풀꽃 3’을 낭송해 주는 나의 목소리가 학생들에게 촉촉하게 내리는 단비가 되기를 소망했다. 진흙에 뿌리를 내리어 피는 꽃, 어둠과 고통을 뚫고 태양에 고개를 내밀어 정수리에 꽃을 피워 고귀한 자태를 드러내는 연꽃, 요가 수행자에게는 연꽃은 씨앗에 담긴 인내와 존재의 가능성, 실현의 상징을 의미한다. 나는 요가의 아름다운 철학은 삶은 목적지가 아닌 여정임을 상기시키며 우리의 몸과 마음에 단단하고 유연한 연꽃 씨앗 한 알 심어 꽃 피우기를 소망하였다. 그러고 보니 “인생이란, 풀밭 길을 걸어가다 길가에 아름답게 핀 꽃을 쥐어보는 길”이라고 시적인 표현을 해 주신 삼석(三石) 지창보 작가님의 한 줄의 글이 떠오르며 가슴이 뭉클하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보면, 씨앗의 세월없이 피워낸 꽃이 어디 있으랴. 천둥과 비바람, 벼락이 통과하는 인내의 시간을 견디어 내지 않고 피워낸 꽃이 어디 있으랴. 새해를 맞이하며 정갈하게 심는 마음에 씨앗은 얼마나 신선한 자극인가. 아니 어쩌면 우리는 모두 각자 마음의 꽃 씨앗을 심기는 하지만 물을 주는 것을 게을리하는 건 아닌지? 우리들의 요가 수업은 잠시 가다듬은 호흡으로 내면을 충전하여 시들어가는 몸과 마음에 물을 주는 생명의 몸짓이다. 그날 수업의 정점은 나무 자세. 옥 같은 꽃에 난초의 향기가 피어오른다는 옥란(玉蘭), 나무에 피는 연꽃, 목련을 떠올리며 땅에 깊게 뿌리내리는 나무처럼 한발로 단단하게 중심을 잡고 선다. 위로 곧게 뻗어 올라가는 손끝에 유연함과 강인한 새 씨앗을 가슴에 심는 학생들의 두 다리는 튼실하고 눈빛은 강렬하게 불타고 있었다. 물처럼 흐르는 음악 소리에 수업은 끝나고 환한 웃음으로 일주일 후 만남을 기대하며 학생들은 각자의 길로 총총걸음 헤어졌다. 그날 밤 한 사람 한 사람 얼굴을 떠올리며 “꽃 피워 봐/ 참 좋아.” 각자 심은 씨앗에 물을 주기를 당부하며 감사 기도하는 잎 속에 수런거리며 피어오르는 저마다 눈부신 연꽃을 나는 보았다. 곽애리 / 시인삶의 뜨락에서 시인 연꽃 씨앗 요가 수업 나태주 시인